2024.06.25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8℃
  • 흐림강릉 22.3℃
  • 구름많음서울 20.0℃
  • 구름많음대전 19.0℃
  • 구름많음대구 22.1℃
  • 구름많음울산 22.4℃
  • 흐림창원 22.7℃
  • 구름많음광주 20.9℃
  • 박무부산 20.8℃
  • 흐림통영 21.8℃
  • 흐림고창 19.1℃
  • 흐림제주 22.9℃
  • 흐림진주 20.7℃
  • 구름많음강화 19.0℃
  • 흐림보은 17.1℃
  • 구름많음금산 18.1℃
  • 구름많음김해시 22.8℃
  • 흐림북창원 23.6℃
  • 구름많음양산시 23.5℃
  • 흐림강진군 21.2℃
  • 흐림의령군 22.3℃
  • 구름많음함양군 20.5℃
  • 구름많음경주시 22.9℃
  • 구름많음거창 18.9℃
  • 흐림합천 23.0℃
  • 흐림밀양 22.5℃
  • 흐림산청 21.7℃
  • 흐림거제 22.5℃
  • 흐림남해 22.7℃
기상청 제공

부산광역시의회 문영미 의원, 부산시 신노년세대, 최근 5년간 6만여명 증가

복지환경위원회 문영미 의원, 다양한 연령층의 노년세대 욕구 반영 정책 개선 촉구

 

[경남도민뉴스] 부산광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문영미 의원은 4일 열린 제321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신노년세대를 위한 정책 개선 및 하하센터의 역할과 기능 정립을 촉구했다.

 

‘24년 4월 기준 부산시 60~75세에 해당되는 신노년세대는 784,669명으로 최근 5년간 60,322명이 증가했으며, 부산시 인구의 23.9%를 차지하고 있다.

 

문영미 의원은 부산시의 노년 정책이 60대에서 90대까지 크게 다르지 않다며, 신노년세대와 같은 새로운 대상을 위한 제도적ㆍ정책적 준비가 미흡함을 지적했다.

 

이어 부산시가 신노년세대 사회참여공간으로 하하센터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하하센터(Happy aging! Healthy aging!, HAHA)의 역할과 기능이 다른 시설들과 차이점이 명확하지 않다며, 중복 서비스를 확인하고 조정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했다.

 

문 의원은 ‘26년까지 하하센터 62개소 조성을 계획하고 있는 부산시에 하하센터의 양적 확대에 앞서, 기존 노인여가복지시설의 기능 전환을 통해 해당 시설이 가진 접근성과 지역사회 네트워크 및 전문인력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덧붙였다.

 

문영미 의원은 “부산시 노년 정책의 지원내용과 대상 연령이 제각각으로 서비스 접근성마저 저하시키고 있다”며, “사업목적에 따라 상이한 지원대상의 연령 기준을 재정비하여 신중년부터 신노년, 고령의 노년까지, 노년기 내 생애주기별 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부산시 정책이 다양한 연령층의 노년세대 욕구를 반영하고 있는지 재검토하고, 부산시 노인실태조사를 실시할 것”을 요청했다.

 

또한, “하하센터가 물리적 공간만 제공하는 것이 아닌 직접 서비스 제공 및 관리, 정보제공 등 신노년세대를 위한 하하센터만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효율적 운영을 위해 15분도시기획과와 노인복지과가 지속적으로 협력할 것”을 당부했다.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라이프·게시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