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지역이 성장하면 대한민국이 성장한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시도지사협 신성장론 역설

시도지사협, 광주서 호남권 정책토론회…강기정-유정복 특별대담

시도지사협의회 호남권 정책토론회
▲ 시도지사협의회 호남권 정책토론회

 

[경남도민뉴스=최현인 기자]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23일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은 대한민국 성장판을 여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다”며 “지역이 성장하면, 대한민국이 성장한다는 신 성장론이야말로 지방을 살리고 대한민국을 살리는 발전전략이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이날 오후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호남권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인공지능, RE100 등 새로운 시대의 성장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통해 성장을 바라보는 관점을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 더는 수도권 집중방식의 획일적 성장방식은 통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시장은 “광주가 시대를 앞서 인공지능(AI)을 택한 것처럼 지방정부는 버릴 것은 버리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전략적으로 산업을 키워야 한다”며 “중앙정부는 이를 위해 과감한 권한 이양으로 진정한 자치시대를 함께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이어 “광주의 AI산업은 광주만을 위한 산업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성장판을 열어갈 기회이다. AI 1단계 사업으로 이미 전국 900여개 기업이 광주에서 도움을 받고 있다”며 “지역별 맞춤형 전략산업을 키워 대한민국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는 실제 사례이다”고 설명했다.

 

강 시장은 “지방자치 30주년을 맞아 진정한 의미의 자치와 분권, 균형발전 시대를 열어나가기 위해 지방에서는 교통망과 경제권을 연결하는 등 기반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새로운 정부에서도 분권형 개헌과 지역균형 발전 로드맵을 마련해 달라”고 제안했다.

 

이날 정책토론회는 개회식과 특별대담, 토론회 순으로 진행됐다. 특별대담은 시도지사협의회 감사인 강기정 광주시장과 협의회장인 유정복 인천시장이 참여해 ‘새 정부 국가발전전략으로서 지방분권 추진방향’을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1부 특별대담에 이어 2부에서 지역 첨단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진단하고 경쟁력 향상 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토론이 진행됐다.

 

송우경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지역 첨단전략산업의 혁신생태계 활성화 방안, 최성환 광주연구원 연구위원이 글로벌 보호무역 동향과 지역 산업의 대응 방안을 주제 발제했다.

 

이어 조성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성장동력사업센터장, 이지훈 전북연구원 주축․신산업팀장, 박웅희 전남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복은 주식회사 에스씨크리에이티브 대표, 김운섭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본부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한편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는 지방자치 30주년을 맞아 지역에 적합한 핵심적 정책현안을 주제로 수도권, 호남권, 경상권, 충청권 4개 권역별로 정책토론회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네티즌 의견 0

0/300자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창원시어린이집연합회, 아동학대 예방 교육 및 실천 결의대회 개최
[경남도민뉴스=박민호 기자] 창원특례시는 7월 25일 창원시어린이집연합회(회장 조미연) 주관으로 늘푸른전당 공연장에서 보육 현장의 아동학대 예방과 인권 보호를 위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교육 및 실천 결의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의대회는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 약 6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단순한 선언을 넘어 보육현장 실무자들의 전문성과 실천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실천’에 중점을 두고 아동학대 예방의 당위성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즉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와 지식을 폭넓게 배우는 소중한 기회를 가졌다. 또한, 원장과 보육교사들은 ‘아동의 인권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 ‘사랑과 책임으로 아이를 지키겠다’라는 결의문을 함께 낭독하고 다짐하며, 서명 퍼포먼스를 통해 지역사회에 올바른 보육 문화 확산과 건강한 보육환경 조성의 의지를 선포했다. 최영숙 복지여성보건국장은 “이번 결의대회가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어린이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아동들의 권익보호와 복지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창원시는

오피니언

더보기

라이프·게시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