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구름조금동두천 7.1℃
기상청 제공

합천군민 동의없는 일방적인 황강취수장 설치 ‶절대 안돼!″

                                                (前)합천읍청년회장 문정욱

 

[경남도민뉴스] 지난 7월 1일 부산지역 모 일간지에 “합천·창녕 물 부산 공급 길 열렸다... 2조 원대 예타 통과” 낙동강 먹는 물 공급체계 정부 사업 확정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접했다.

 

핵심내용이 합천 황강 복류수와 창녕 강변여과수를 개발해 부산과 동부 경남에 하류 평균 90만톤을 공급할 수 있는 취수시설·관로 102.2㎞를 2025년에 착공해 2028년까지 준공한다는 내용이었다.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합천군과는 아무런 논의도 없이 기획재정부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시켜 정부사업으로 확정하고 밀어붙이기식 사업을 진행시키려 하고 있다. 합천군민들이 반발하는 것이 정부의 이같은 계획이 합천군민들의 의사와는 전혀 상관없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6월에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조건부 의결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에는 사업을 착공하기 전까지 주민 동의를 구한다는 조건이 달려 있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그럼, 주민동의가 조건부 의결인 만큼 합천군민이 결사 반대하는 취수장 건설을 아무리 정부사업이라도 과연 추진할 수 있을까?

만약, 주민 동의없이 무리하게 사업이 추진된다면 1996년의 상황이 또다시 재현될지 모른다. 합천군민은 1996년 부산시에 50만톤을 공급하는 황강취수장 건설을 강력히 반대하며 백지화시킨 저력이 있다.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깨끗한 물을 마셔야 된다.

물을 공급받아 수혜를 입는 대도시 주민들은 물은 공공재인데 같이 나눠쓰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왜! 합천군민들이 목숨걸고 물 공급을 반대하는지는 한 번 생각해 봐야 한다. 지역이기주의가 아닌 합천군민의 생존권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황강을 끼고 대대로 살아온 삶의 터전이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묶여 군민 생활이 불편해지는 고통은 감수하더라도 농업용수 고갈로 농․축산업 생산기반을 붕괴시키고 황강 주변지역 개발이 불가능해져 재정자립도가 최하위권에 있는 합천의 지역소멸로 이어질지 모를 일이다.

 

합천의 브랜드슬로건은 ‘水려한 합천’이다. 황강, 합천호의 맑은 물과 수려한 경관의 고장 합천군을 표현한 말이다. 합천군민이 황강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함축하는 말일 것이다.

 

합천군의 젖줄인 황강 물을 이용하려는 정부의 방침에 앞서 합천군민들에게 먼저 의사를 물어보는 것이 순서가 아닐까 생각한다.

네티즌 의견 0

0/300자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거창군, 2025년 상반기 응급의료협의체 회의 개최
[경남도민뉴스=백형찬 기자] 거창군은 지난 23일 2025년 상반기 응급의료협의체 회의를 개최하고, 지역 내 응급의료체계의 개선점과 유관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거창군보건소, 거창소방서, 거창적십자병원, 거창한국병원, 중앙메디컬병원, 구오구오응급구조단, 협약병원인 대구 W병원 등 관계자 14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관내 병원의 응급실과 야간진료실 진료현황 공유 및 지역응급의료기관 평가 향상 방법, 참석기관의 운영 상황과 협조사항 공유, 응급의료 유관기관 간 협력 방안, 중증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한 이송체계와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중앙메디컬병원은 응급실 소아경증환자 분산을 위해 평일 야간과 휴일 시간대 외래 진료로 신속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달빛어린이병원 지정 준비 중임을 안내했고, 보건소에서는 거창군 생활인구 활성화를 위해 협력병원 임직원과 가족들이 거창군 행사·축제 등에 방문할 수 있도록 홍보했다. 또한 응급의료협의체에는 응급실 이용 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중증환자는 응급실로, 경증환자는 가까운 병의원으로’ 캠페인을 전개했다. 거창적십자병원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통해 지역응급의료기관과 병원 간의 유기적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