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기장군 문오성 지역, 어촌 활성화 위한 ‘문오성 WEEK’ 개최

6월 30일부터 7월 6일까지 문동방파제 일원 다채로운 전시강의체험 행사 진행

 

[경남도민뉴스=신석주 기자] 기장군은 오는 6월 30일 금요일 부터 7월 6일 일요일까지 일주일간 문동방파제 일원에서 ‘문오성 WEEK’가 열린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일광읍 문오성(문동·문중·칠암·신평·동백) 지역의 어촌 활성화를 위한 ‘기장군 문동생활권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문동직판매장 개소에 맞춰 문오성 지역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문오성 WEEK’ 기간에는 문오성 다섯 어촌마을의 삶을 소개하는 전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지역 원물을 주제로 한 ‘인문학 프로그램’ ▲마을 일대를 탐색하는 ‘원데이 클래스’ ▲마을 주민이 직접 판매하는 ‘특산물 판매부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주요 행사 프로그램으로 6월 30일부터 7월 6일까지 문동해녀복지회관 1층(기장군 일광읍 문오성길 722)에서 진행되는 전시인 ‘VIEW: 문오성’이 있다. 이번 전시는 마을 어민의 작업장으로 사용되었던 공간에서 다섯 마을의 일상을 담은 것으로, 반농반어의 어촌마을을 기록하고 관찰한 결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했다.

 

7월 4일에는 마을의 주요 생산품인 다시마와 미역, 쪽파를 주제로 한 인문학 프로그램인 ‘원물식담: 문오성이 기른 밥상’이 2부에 걸쳐 진행되며, 같은 날 오후 4시부터는 문오성 일대에 새로운 활력을 만들어 갈 링커조직들이 함께하는 ‘2025 링커조직 네트워킹 데이’가 개최된다.

 

또한, 7월 5일과 6일 주말에는 문오성을 탐색하는 원데이 프로그램으로, 바닷가의 식물을 그려보는 ‘바다식물도감 드로잉클래스’와 문동방파제 바닷가를 새로운 방식으로 걸어보는 ‘문오성 파도치유클래스’가 각각 운영된다.

 

그 밖에도 7월 4일부터 6일까지 마을 주민이 직접 수확한 작물을 판매하는 특산물 판매 부스가 함께 운영되면서, 주민과 관람객들이 소통고 지역 특산물을 홍보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행사의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이며, 사전 신청을 통해 참가자를 모집하며, 특산물 판매부스 구매 시 상품을 증정하는 현장 이벤트도 마련되어 있다. 프로그램 사전신청 및 자세한 일정과 내용은 문동현장사무국 인스타그램과 블로그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문동생활권을 지속가능한 정주환경과 어촌다움이 어우러져 활기 넘치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어촌신활력증진사업은 해양수산부 주관으로 총 5년간 300개소에 3조 원이 투입되는 전국 단위 사업으로 각 어촌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구분돼 추진되고 있다. 기장군 문동생활권은 지난 2023년 2유형인 ‘어촌 생활플랫폼 조성’에 최종 선정됐으며, ‘회복과 공존의 문동 바다정원’을 비전으로 지속적인 사업을 이어 나가고 있다.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창원시어린이집연합회, 아동학대 예방 교육 및 실천 결의대회 개최
[경남도민뉴스=박민호 기자] 창원특례시는 7월 25일 창원시어린이집연합회(회장 조미연) 주관으로 늘푸른전당 공연장에서 보육 현장의 아동학대 예방과 인권 보호를 위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 교육 및 실천 결의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의대회는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 약 6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단순한 선언을 넘어 보육현장 실무자들의 전문성과 실천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실천’에 중점을 두고 아동학대 예방의 당위성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즉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와 지식을 폭넓게 배우는 소중한 기회를 가졌다. 또한, 원장과 보육교사들은 ‘아동의 인권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 ‘사랑과 책임으로 아이를 지키겠다’라는 결의문을 함께 낭독하고 다짐하며, 서명 퍼포먼스를 통해 지역사회에 올바른 보육 문화 확산과 건강한 보육환경 조성의 의지를 선포했다. 최영숙 복지여성보건국장은 “이번 결의대회가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어린이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아동들의 권익보호와 복지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창원시는

오피니언

더보기

라이프·게시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