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구름많음강릉 28.0℃
기상청 제공

빠지면 못 나오는 손안의 늪...스마트폰

 

 

[경남도민뉴스]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이용률은 세계 최고라고 한다. 그리고 20만명이 넘는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중독을 앓고 있다는 통계다.

 

코로나 19 이전에는 시간을 정해두고 사용했지만 비대면 수업이 진행된 이후부터는 수업을 핑계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딴짓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일선 교사들도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이 우려스럽다고 한다. 학생들이 원격수업에 참여해도 수업에 집중하고 있는지는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코로나19로 인해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수업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 청소년들이 학업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회피 수단의 도구로 스마트폰을 선택하고, 스마트폰으로 접근 가능한 콘텐츠가 다양한데다 조작도 쉬워 클릭 한 번이라는 손쉬운 방법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고를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선호하게 된다.

 

여성가족부 통계에 의하면 전국 청소년 129만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청소년 스마트폰 이용 습관 진단 조사 결과에 의하면 전체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이 증가한 가운데 전년 대비 초등학생의 증가가 두드려졌고 남자는 연령이 낮을수록, 여자는 연령이 높을수록 더 많았으며,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과의존 위험군이 증가하였고, 학교별로는 중학생 고등학생, 초등학생 순으로 과의존 위험군이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 유형은 동영상(영화)시청, 게임, 메신저 등의 순이었다. 이처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 현상은 음란물에 쉽게 접근 성범죄 등 각종 범죄에 노출되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못하는게 없는 세상은 어른들이 만들었다. 손에 쥐어 준 것도 어른이다. 온종일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며, 빠져 산다면 아이들은 결국에 어떻게 놀아야 하는지도 잊는다. 학교 교육은 치유적인 활동을 더 많이 고민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스마트폰을 압수하는 것만으로는 스마트폰 과의존을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아동·청소년들의 놀이문화이자 소통 수단이라는 점을 부모 세대가 인식하고, 스마트폰 문제가 자녀만이 아니라 가족 공동의 문제라는 인식이 해결의 첫걸음이라는 점을 알고 학교나 가정에서는 외적 강제보다는 청소년 스스로 회피하고자 노력하는 내적 동기를 부여하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네티즌 의견 0

0/300자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거창군, 일본뇌염 예방 위한 방역·홍보활동 강화
[경남도민뉴스=백형찬 기자] 거창군은 지난 24일 경남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처음 발견됨에 따라 야외활동 시 모기 매개 감염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번 일본뇌염 주의보는 제주 지역과 전남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처음 확인됨에 따라 발령된 것으로, 전년도보다 3일 빠른 시점이다. 최근 기온 상승으로 인해 모기 개체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릴 경우 심각한 신경계 증상을 동반하는 일본뇌염이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군은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모기(유충)서식지 신고센터를 운영하는 등 방역 활동을 강화하고, 군민을 대상으로 모기 매개 감염병에 대한 위험성과 예방수칙을 알리는 홍보 활동도 확대하고 있다. 일본뇌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기에 예방접종 실시 △모기 활동이 활발한 4월~10월 야간 시간대 활동 자제 △외출 시 밝은색의 긴 옷 착용 △모기 기피제와 모기장 사용 △방충망 점검 등의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구인모 거창군수는 “ 일본뇌염은 특화된 치료법이 없어 예방접종과 모기물림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며, “특히 어린이는 예방접종을

오피니언

더보기

라이프·게시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