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기상청 제공

국산 로봇착유기, 착유 비용 줄이고 스마트 축산 앞당긴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 로봇착유기 젖소 농가 비용 절감에 기여

 

[경남도민뉴스=공동취재 기자] 농촌진흥청 권재한 청장은 10월 31일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에 있는 젖소 농장을 방문해 낙농가 경영비 절감을 위해 도입한 로봇착유기 활용 효과와 확대 보급에 필요한 사항을 점검했다.

 

착유 작업은 젖소 사육 노동력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노동력과 비용이 많이 든다. 국산 로봇착유기는 착유 작업을 모두 자동화해 50두 농가 기준으로 착유 비용을 연간 37%(1,700만 원)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젖소 개체별로 착유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해 사료 급여 조절 등 농장관리에도 활용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고령화와 후계농 부재 등으로 노동력 부족을 겪고 있는 국내 낙농가의 고충을 해결하기 위해 로봇착유기를 국산화해 보급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로봇 착유에 필요한 유두탐지, 유두 세척, 유질 검사 등 20여 건의 특허 기술을 확보하고 2021년 로봇착유기 국산화에 성공했다. 특히 핵심기술인 유두탐지 기술은 최신 심층 기계 학습(딥러닝) 기술을 접목해 정확도를 98.5%까지 끌어 올리는 데 성공했다.

 

로봇착유기를 활용하면 젖소의 유방을 세척하고, 유두 위치를 인식해 착유기를 자동으로 끼운 후 젖을 짜는 착유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아울러 개별 젖소의 착유 횟수와 착유량 등 데이터도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다. 로봇착유기를 통해 수집된 학습용 데이터는 농촌진흥청이 자체 운영하는 ‘농업 연구개발(R&D) 데이터 플랫폼’에 축적해 젖소의 유방염 위험도, 우유 생산성, 사료 급이 현황 등 농장관리 점검 지표로 활용된다.

 

향후 데이터가 쌓이면 농협 유우군능력검정사업과 연계해 국내 젖소개량에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젖소 개체별 급여량 관리 기술을 개발해 우유 생산비 절감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국산 로봇착유기는 신기술보급시범사업 등에 포함돼 2024년 10월 기준 전국 12개소에 14대가 보급‧가동 중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로봇착유기 설치 전후 사용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산 로봇착유기 운영 Q&A’를 발간하고 농가에 배포했다. 농가 맞춤형 전문 상담(컨설팅)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날 현장 간담회에 참석한 권재한 청장은 “농촌진흥청은 축산 스마트팜 보급 확대를 통해 국내 가축 고유의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민간에 개방함으로써 민간 연구 활성화를 지원하겠다.”라며 “국산 로봇착유기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민관 협업 연구를 지속해서 추진하는 동시에 농림축산식품부, 농협 등 관계기관에서 추진하는 정책 지원사업과도 적극 연계해 보급에 박차를 가하겠다.”라고 말했다.

네티즌 의견 0

0/300자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거제 맑은샘병원, 지역 생명지킴이로 나서다
[경남도민뉴스=김부경 기자] 거제 맑은샘병원이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응급복부수술 지원 시범사업'의 시범병원으로 선정됐다. 이는 단순히 병원 지정의 의미를 넘어, 지역의 중증 응급환자들의 생명을 지키는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번 시범사업은 급성 충수염, 장 천공, 복막염 등과 같은 중증 응급복부질환 환자에게 24시간 수술이 가능한 병원을 지정하여 운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인건비와 법적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며, 실제로 전국에서도 단 15개 병원만이 참여한 상황이다. 맑은샘병원이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사업에 참여한 이유는 명확하다. 거제에는 중증 응급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병원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50대 남성이 복부 통증으로 거제 내 병원들을 전전하다 결국 부산으로 이송되어 수술을 받았으나, 급성 복막염의 골든타임을 놓쳐 사망한 안타까운 사례가 있었다. 이는 지역 내 응급수술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한 비극적 결과였다. 맑은샘병원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외과, 마취통증의학과, 응급의학과가 협력하여 상시 수술 체계를 가동하게 됐다. 이로 인해 거제 시민들은

오피니언

더보기

라이프·게시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