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구름많음강릉 18.6℃
기상청 제공

총기 안전대책 강화되어야 한다

 

 

[경남도민뉴스] 최근 미국의 총기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어 떠들썩하다

 

남부 애틀랜타에서는 20대 남성이 스파에 난입해 한국계를 포함해 8명을 숨지게 하고, 서부 콜로라도에서는 다른 20대 총격범 때문에 10명이 사망하는 등 일주이내 총기난사 사건이 7건이 발생했다.

 

미국 총기사고로 매년 5만명 가까운 사람이 사망하고 있어 총기규제의 목소리가 높지만 美선거철만 되면 단골 메뉴로만 등장하고, 지금까지 근본적인 해결책은 없었다. 신상조사만 받으면 누구나 총기를 구입할 수 있는 미국의 총기권은 1791년에 제정된 헌법 수정 제2조의 “무기 소장 및 휴대의 권리”로 미국인들에게는 당연한 권리다.

 

헌법상의 권리이기 때문에 헌법을 고치지 않는 한 완전히 금지될 가능성은 낮다. 강력한 로비단체인 전미총기협회(NRA)가 여전히 건재하고 있어 총기규제법과 총기권의 찬반이 팽팽하다.

 

우리나라의 총기관리에 대해서도 한번쯤 되짚어 봐야 될 시점이다

전 세계적으로 안전한 나라로 호평을 받고 있지만 관광이 자유로워지고 외국인의 유동이 많아지면서 불법무기류도 자연스럽게 밀반입 밀거래가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못지않게 사제총기사고도 종종 발생한다.

 

서울 도심에서 발생한 폭행범 검거현장에서 현직 경찰관이 사제총기 피격으로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여 사제총기 관리에 대한 우려와 함께 정확한 현황 파악과 단속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이다. 사제총기의 제조방법이 SNS등을 통해 넓게 확산되고 있으며 사제총기나 폭탄 제조법을 인터넷에 올리면 2년이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 벌금형을 받도록 하는 강화된 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총기 청정국이라 하지만 매년 상·하반기 2회 걸쳐 불법무기류 자진신고 기간 운영에도 다양한 불법무기류들이 경찰관서에 접수되고 있다. 이런 회수실적 현황을 보면 밀반입되는 총기와 사제 총기류들이 우리 지역사회 어딘가에 숨겨져 있다고 볼 수 있다. 국민들의 제보가 필요한 때이다

 

뿐만 아니라, 유해조수구제 및 유해야생동물인 멧돼지, 고라니 등 퇴치를 위해 수렵 포획허가증과 총기 소지허가를 받은 엽사들도 엽총, 공기총을 사용하고 있다. 총기는 위험한 물건임으로 반드시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총기사용 후 필히, 경찰관서 출·입고시켜야 한다.

 

총기 소지자의 안전교육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을 정확하게 살펴 결격사유 있는 사람이 총기를 소지할 수 없도록 사전에 차단하고 국민들이 총기사고로부터 벗어나 안전하고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철저한 관리감독과 안전대책은 강화되어야 한다.

네티즌 의견 0

0/300자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거창군, 2025년 상반기 응급의료협의체 회의 개최
[경남도민뉴스=백형찬 기자] 거창군은 지난 23일 2025년 상반기 응급의료협의체 회의를 개최하고, 지역 내 응급의료체계의 개선점과 유관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거창군보건소, 거창소방서, 거창적십자병원, 거창한국병원, 중앙메디컬병원, 구오구오응급구조단, 협약병원인 대구 W병원 등 관계자 14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관내 병원의 응급실과 야간진료실 진료현황 공유 및 지역응급의료기관 평가 향상 방법, 참석기관의 운영 상황과 협조사항 공유, 응급의료 유관기관 간 협력 방안, 중증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한 이송체계와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중앙메디컬병원은 응급실 소아경증환자 분산을 위해 평일 야간과 휴일 시간대 외래 진료로 신속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달빛어린이병원 지정 준비 중임을 안내했고, 보건소에서는 거창군 생활인구 활성화를 위해 협력병원 임직원과 가족들이 거창군 행사·축제 등에 방문할 수 있도록 홍보했다. 또한 응급의료협의체에는 응급실 이용 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중증환자는 응급실로, 경증환자는 가까운 병의원으로’ 캠페인을 전개했다. 거창적십자병원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통해 지역응급의료기관과 병원 간의 유기적

오피니언

더보기

라이프·게시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