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구름조금창원 31.2℃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통영 26.1℃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구름많음진주 30.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조금김해시 30.5℃
  • 구름조금북창원 32.9℃
  • 구름많음양산시 30.6℃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의령군 32.1℃
  • 구름많음함양군 33.4℃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창 32.6℃
  • 구름많음합천 32.5℃
  • 구름조금밀양 34.5℃
  • 구름조금산청 32.3℃
  • 구름조금거제 28.1℃
  • 구름조금남해 30.4℃
기상청 제공

경상국립대학교 최명룡 교수팀, 혁신적인 촉매 설계로 암모니아 생산 및 전력 생성 동시 달성

아연-질산염 배터리 기술로 《앙게반테 케미 인터내셔널 에디션》 표지 선정

 

[경남도민뉴스=김종태 기자] 경상국립대학교 화학과 최명룡 교수(광화학 나노소재 전문 핵심연구지원센터장) 연구팀은 아연-질산염(Zn-NO3−) 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하며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질산염(NO3−)을 암모니아(NH3)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기를 생성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였다.

 

이번 연구 성과는 청정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면서 친환경적인 암모니아 생산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는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받아 화학 분야의 세계 최정상급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 인터내셔널 에디션(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IF: 16.1)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최명룡 교수팀은 연속파(CW) CO2 레이저 조사 기법을 이용해 프러시안 블루 유사체(CoFe-PBA)로부터 질소 도핑된 탄소(CoFe2O4@NC)로 이루어진 속이 빈 나노큐브를 제작했으며, 이를 질산염 환원 반응(NO3-RR) 촉매로 사용했다. 이 촉매는 매우 높은 효율로 암모니아를 생산하면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했다. 특히, 이 배터리 시스템은 암모니아 생산뿐만 아니라 동시에 전기를 생성하는 이중 기능을 수행하며, 연구진은 촉매 표면에서 발생하는 활성종이 질산염 환원 반응을 최적화해 암모니아 생산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기술은 저비용 촉매를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상업적 응용 가능성을 가진 에너지 저장 및 생산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를 통해 청정 에너지 생산과 지속 가능한 암모니아 생산이 가능해지며, 다양한 산업에서 상용화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환경 문제 해결과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연구 수행은 한국연구재단(NRF)과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기초과학 연구역량 강화사업의 ‘광화학 나노소재 전문 핵심연구지원센터’ 지원으로 수행됐다.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라이프·게시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