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민뉴스=박만수 기자] 청주시는 2025 대청호 환경미술제 ‘자연스럽지 않다면’을 오는 15일 개막한다.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과 대청호 수변 일대에서 펼쳐지는 이번 전시는 극심한 기후변화와 탄소 배출, 생태계 위기라는 환경 현실 속에서 ‘자연’이라는 개념을 예술적 시선으로 다시 바라본다.
전시 제목 ‘자연스럽지 않다면’은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자연의 질서가 더 이상 ‘자연스럽지 않다’는 현실에 대한 자각에서 비롯됐다. 자연을 파괴하고 소비해 온 인간의 태도에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미래를 위한 생태적 상상력을 자극한다.
참여 작가는 강인구, 김준, 김해심, 박정렬, 차기율, 정지연, 지나손 등 7명이다. 이들은 대청호의 지형과 생태, 역사와 기억을 매개로 자연이 지닌 시간성과 감각을 드러낸다.
정지연은 자연광에 반응하는 야외 구조물을 통해 생명의 흐름과 시간을 시각화한다. 빛, 중력, 바람이라는 자연의 힘에 따라 변하는 설치작업은 끊임없이 다른 얼굴을 보여주며 자연의 질서와 찰나의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로비 공간에서는 관람객이 직접 참여해 완성하는 ‘빛의 숲’ 작업을 통해, 빛이라는 감각적 요소를 생명과 존재의 상징으로 풀어낸다.
지나손은 침식과 퇴적, 그리고 수몰의 흔적이 남은 수변 지형에 생명의 집을 짓는다. 초석과 맷돌, 사금파리 등 인간의 흔적과 함께 자연 퇴적물이 뒤섞인 이곳에 황토와 미나리를 활용한 생태적 공간을 구성해, 인간과 자연의 시간이 교차하는 장소로 대청호를 재해석한다.
김준은 대청호 주변에서 채집한 자연의 소리를 공감각적 사운드로 변환한다. 청각을 통해 자연의 호흡과 리듬을 감지하게 하는 그의 작업은, 일상에서 지나쳐온 자연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게 만든다. 관람자는 소리를 통해 생태적 흐름을 감각하고,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한다.
박정렬은 대청호 조성 전후의 풍경을 오롯이 담은 작품으로 수몰민의 삶과 상실의 감정을 어루만진다. 그는 대청호 인근에서 수집한 흙을 주요 재료로 사용해, 물에 잠긴 마을의 시간을 회화로 되살린다. 그의 작업은 과거에 대한 애도이자 회복을 향한 제안이다.
강인구는 버려진 대추나무 가지를 의료용 테이프로 이어붙여 유영하는 물결 형상의 설치작품을 완성했다. 잘려나간 가지가 다시 살아 움직이는 장면은 자연의 순환성과 생명력,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를 은유적으로 드러낸다.
차기율은 대청호에서 수집한 돌을 드로잉과 설치로 재배치한다. 오랜 시간 자연이 품어온 돌의 질감과 형상을 통해 존재의 의미를 되묻고, 인간의 사유와 자연의 기억이 맞닿는 경계를 탐구한다.
김해심은 대청호 수변에 널린 덩굴과 나무 등을 활용해 생태적 둥지를 구성한다. 생물의 서식지이자 토양을 되살리는 존재로서의 덩굴을 통해, 인간 또한 자연과 함께 얽히고 기대며 살아가는 존재임을 상기시킨다.
청주시와 청주시립미술관이 주최하고 충청북도가 후원하는 이번 환경미술제는 전시 첫날인 15일 오후 4시에 공식 개막식을 갖고, 7월 13일까지 90일간 이어진다. 개막식에 전 오후 3시에는 작가와 관객이 만나는 ‘작가와의 대화’도 진행된다.
휴관일인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대청호미술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 관람료는 무료(문의문화유산단지 입장료 별도)다.
박원규 청주시립미술관장은 “2020년부터 환경 가치를 주제로 이어온 대청호 환경미술제는 올해 자연의 근원적 요소인 물, 흙, 나무 등을 중심에 놓고 자연과 인간, 환경과 문명의 관계를 성찰한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재조명해보시기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