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24시 헬스클럽' 이준영, 제법 웃기다! 달콤한데 매운맛의 헬치광이 도현중 役으로 인생캐 적립!

 

[경남도민뉴스=백형찬 기자] 이준영이 ‘24시 헬스클럽’에서 신들린 코믹 열연으로 안방극장을 들썩이게 했다.

 

지난 4월 30일(수) 첫 방송된 KBS 2TV 수목드라마 ‘24시 헬스클럽’(연출 박준수, 최연수 / 극본 김지수 / 제작 CJ ENM STUDIOS, 본팩토리, 몬스터유니온, 키이스트)에서 이준영은 세계적인 보디빌더에서 하루아침에 낡은 헬스클럽을 떠맡게 된 ‘기승전근(筋)’ 헬치광이 관장 도현중 역으로 완벽 변신했다.

 

타 작품들에서 강한 인상을 남긴 그가 이번엔 헬치광이로 돌아와, 달콤하지만 맵고 웃기지만 진지한 이중 매력을 선보이고 있는 것.

 

이준영은 능청스러운 코믹 연기로 극을 휘어잡으며 캐릭터의 매력을 배가시켰고 방송 후 시청자들은 “이준영 얼굴 또 갈아 끼웠네. 대체 얼굴이 몇 개?”, “도 관장님한테 진짜 혼나는 기분임. 먹던 과자 내려놨다”,

 

“코미디까지 잘하면 어떡해. 반전이다”, “이준영 악역 느낌 많이 보다가 제대로 또드 남주라 신선해”, “개쓰레기 매운맛 악역 전문가가 보여주는 마라맛 관장님”, “드라마 인기 많아진다에 김종국 건다” 등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1회에서 현중은 얼떨결에 헬스클럽을 찾아온 이미란(정은지 분)과 부딪혔고 넘어질 뻔한 그녀의 허리를 감싸 안았다.

 

하지만 현중은 로맨틱한 포즈와 달리 진지한 눈빛으로 “162.7cm에 62.8kg”라고 속삭이는가 하면 신규 회원이 된 미란을 보고 사악한 웃음을 지어 보여 폭소를 유발했다.

 

더 나아가 현중은 망가진 미란의 몸 상태에 “What the fat!”이라고 연신 외치는 등 헬치광이 자체인 그의 말 한마디가 벌써 유행어를 생성시키며 취향을 저격했다.

 

‘이준영, 제법 웃기다’라는 시청자들의 호평이 쏟아지는 코믹 포인트 장면들은 2회에서도 이어졌다.

 

2회에서 현중은 알렉스(이승우 분) 대신 줌바 수업에 들어갔고, 신들린 몸동작으로 댄스를 소화했다. 그는 망가짐을 불사한, 밀리지 않는 ‘근육 정신’으로 독보적인 존재감을 폭발시키며 보는 이들의 웃음을 책임졌다.

 

또한 이준영은 상대 배우 정은지와도 완벽한 티키타카, 그야말로 만점 연기 호흡을 선보이며 시청자들을 만족시켰다.

 

극 중 현중은 음식 앞에서 흔들리는 미란의 입을 주먹으로 막아주고, 전 남자친구 앞에서 망신당한 그녀를 화끈하게 구해내는 등 미란의 자존감 지킴이를 자처했다.

 

때론 독하지만, 설렘 가득한 멘트로 ‘득근득근’ 현실판 성장 드라마를 탄생시킨 가운데, 이준영의 파격 도전은 안방극장에 공감, 웃음, 설렘 모두 선사하며 생각만 해도 실실 웃게 되는 ‘헬스클럽 후유증’을 유도하고 있다.

 

新 코믹 관장님 이준영을 만나볼 수 있는 KBS 2TV 수목드라마 ‘24시 헬스클럽’은 오는 7일(수) 밤 9시 50분 3회가 방송된다.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장애인 투표 참여 독려 캠페인, "포용적 민주주의 실현 기대"
[경남도민뉴스=백형찬 기자] (사)한국척수협회 거창군지회가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장애인과 지역민의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캠페인을 전개했다. 이번 캠페인은 선거 과정에서 소외되기 쉬운 척수장애인을 비롯한 모든 유권자의 권리 보장과 민주주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김경진 지회장은 "선거는 모든 시민이 동등한 권리로 참여해야 할 기본적 의무이자 권리"라며, "특히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가 선거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캠페인에서는 장애인 유권자들이 투표소에 접근할 때 직면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을 위해 투표소 이동의 용이성, 보조 인력의 지원, 장애인 친화적 투표 환경 조성 등의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김경진 지회장은 "이번 캠페인이 투표 장벽을 낮추고 포용적 민주주의 문화 확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 캠페인은 장애인 유권자들이 보다 쉽게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선거 과정에서의 차별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포함한다. 또한, 장애인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