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어린이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가장 필요한 것은?

거창경찰서 교통관리계 경위 문경호
▲ 거창경찰서 교통관리계 경위 문경호

 

7살 된 아들이 있다. 아들에게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게 뭐지?”라고 물으면 아들은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차”라고 이야기를 한다. 교육상 아들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지 모르겠지만 아들의 교통안전이 걱정이 되는 나로서는 아들이 내 말을 알아들을 때부터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것은 차”라고 이야기를 해 준 탓에 아들은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것은 “차”라고 알고 있다.

나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모든 부모님들은 아이들의 교통안전에 대해서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때 “차 조심해라”라는 말은 입에 달고 사는 것이 대한민국 부모님들의 현실이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아이들을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부모들이 해야 될 일이 뭘까 고민을 해 봤다.

안전벨트를 착용, 카시트 설치,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운전 등 여러 가지 주의해야 될 점들이 있겠지만 교통 경찰관인 나에게 아이들을 ‘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부모님들이 제일 먼저 해야 될 일을 선택하라고 한다면 ‘부모님들의 보행 교육’을 가장 우선에 두고 싶다.

도로교통공단의 통계를 살펴보면 2016년 한 해 동안 대한민국에서 1만1,264건의 어린이 교통사고가 발생해 71명의 어린이가 사망했는데 그 중 보행 중에 교통사고로 사망한 어린이가 36명으로 전체 어린이 사망자 중 50.7%(36명)를 차지했다.

이렇듯 어린이 교통사고는 ‘차대차’의 관계에서 일어나기 보다는 ‘차대사람’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비중이 높은 만큼 아이들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부모님들이 아이들에게 안전하게 보행하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면 보행 중 일어나는 어린이 교통사고가 크게 감소할 것이다.

그럼 부모님들은 아이들에게 보행교육을 어떻게 하면 될까? 보행 교육은 결코 어렵지 않고 “서다” “보다” “걷다” 3가지 원칙만 기억을 하면 된다.

첫 번째 “서다”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일단 멈춰 서야 함을 뜻한다. 설사 횡단보도의 신호등이 녹색불이라도 일단 멈춰 서야 한다.

두 번째 “보다”는 횡단보도를 건너기 전 좌우를 살펴보고 자동차가 오는 방향을 보면서 건너야 함을 뜻한다.

세 번째 “걷다”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절대 뛰어서는 안 되고 여유를 가지고 걸어야 함을 뜻한다.

그리고 위 3가지 원칙을 교육하기 전에 아이들에게 “절대로 무단횡단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려 주어야 한다. 위 3가지 원칙도 결국 횡단보도 상에서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고 도로 위에서는 횡단보도가 아니면 아이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곳은 없다.

아들을 사랑하는 아버지이자 어린이 교통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경찰관으로서 대한민국의 모든 부모님들에게 위 ‘서다-보다-걷다’ 보행 교육을 아이들에게 해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

 

 

 

네티즌 의견 0

0/300자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아름다움은 누구에게나 평등한 권리입니다" - 거창군의 화요미데이, 장애인 미용 서비스 시작
[경남도민뉴스=백형찬 기자] 거창군에서 장애인의 사회적 참여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요미(美)데이' 미용 서비스 프로그램이 2025년 5월 13일부터 본격 운영된다. 이 프로그램은 사단법인 한국척수장애인협회 거창군지회가 주관하며, 매주 화요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장애인들에게 전문 미용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화요미데이' 프로그램은 장애인의 미용 서비스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기획됐다. 거창군 내 장애인들은 그동안 시설 접근의 불편함과 감각 과민성에 대한 대응 미흡으로 미용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화요미데이는 휠체어 경사로 설치, 미끄럼 방지 매트, 조명 밝기 조절 장치 등을 갖춘 장애인 친화적 공간에서 운영된다. 또한,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동 가위를 사용하는 등 감각적 편의를 극대화했다. 서비스는 전문 교육을 수료한 미용사 2명과 자원봉사자 3명이 협력하여 진행된다. 미용사들은 매월 1회 장애인 특성 이해 교육을 받으며, 자원봉사자들은 참여자의 이동과 대기 시간 돌봄을 지원한다. 더불어, 근처 병원과의 비상 의료 협약을 통해 안전성을 강화했다. 참여자별로는 건강 정보(알레르기, 통증 부

오피니언

더보기

라이프·게시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