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월)

  • 맑음동두천 3.5℃
  • 흐림강릉 6.0℃
기상청 제공

부산광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부산형 장애인 구강진료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토론회 개최

장애인 구강진료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첫걸음

부산광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부산형 장애인 구강진료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토론회 개최
▲ 부산광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부산형 장애인 구강진료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토론회 개최

 

[경남도민뉴스=신석주 기자] 부산광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에서 주최하는 “부산형 장애인 구강진료 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토론회”가 4월 10일 14:00 부산시의회 2층 중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장애인의 실질적인 건강권 보장을 위한 구강진료 체계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고, 다양한 주체가 참여해 지역 중심의 통합적 돌봄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의 장이 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부산광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윤태한 위원장을 비롯한 복지환경위원회 위원, 부산장애인총연합회 조창용 회장,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박인순 회장, 부산광역시 치과의사회 전형식 부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성현달 (남구3, 국민의힘) 부산광역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부위원장은 ‘부산시 장애인 구강진료체계 개선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발표했으며, 김진범 부산대 치의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가 좌장으로 토론을 진행했다.

 

주요 발제자로는 김권수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공동대표가 ‘부산형 장애인 구강건강 의료전달체계 수립을 위한 제안’을 발표하고, 부산뇌병변복지관 이주은 관장이 ‘장애인 구강건강관리 사업 사례’를 주제로 현장 경험을 공유했다.

 

지정토론에서는 ▴권민정 한국자폐인사랑협회 부산지부장(인제대 교수)이 자폐아동을 위한 구강건강 돌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오형진 부산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장이 지역 내 장애인치과주치의 확대 방안을 제안했다. 또한 ▴이원익 부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구강건강 돌봄의 사회적 접근과 지원체계를, ▴김학윤 부산광역시 건강정책과장은 행정적 실현 가능성과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했다.

 

토론자로 나선 성현달 부위원장은 “치통은 생존의 문제이자 인간다운 삶의 기본 조건”이라며 “장애인 구강건강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이를 위한 정책적 실현을 위해 시의회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현장의 목소리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논의가 이루어진 자리로, 부산형 장애인 구강 진료체계의 실효적 구축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네티즌 의견 0

0/300자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거제면 치매어르신을 위한 특별한 봄 프로그램 ‘잊지 않는 마을’ 시작
[경남도민뉴스=김부경 기자] 거제시치매안심센터는 오는 4월 23일부터 6월 4일까지, 거제면 건강증진형 보건지소에서 거제면 치매어르신을 위한 이동쉼터 프로그램 ‘잊지 않는 마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거리적 제약으로 치매안심센터에 찾아오기 어려운 치매어르신들을 위해 센터가 직접 찾아가 기억력 강화 및 일상생활 기능 유지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제공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기억력 강화 공부, 실버 운동, 봄 나들이, 작품 만들기 등으로 구성돼 있다. 기억력 강화 공부는 기억력 훈련 책자 및 기억력 놀이 도구 등을 통해 어르신들의 뇌를 자극하며 다양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어르신들의 근력 향상과 균형 감각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봄을 맞아 자연 속에서 활력을 찾을 수 있는 외출 프로그램과 함께 창의력과 손끝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작품 만들기 활동도 제공된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하는 경우 치매안심센터 또는 거제면 건강증진형 보건지소로 전화하거나 방문해 접수하면 된다. 치매안심센터 관계자는 “이번 프로그램이 치매 어르신들이 건강한 삶을 지원하고, 정서적 안정과 활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