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구름많음서울 24.5℃
기상청 제공

「코로나19」와의 싸움에서 터득한 가르침

거창경찰서 아림지구대

     경장 정석원

전 국민의 관심이 코로나라는 전염병에 신경 쓴 사이 어느덧 3월 봄이 왔다. 그러나 초중고는 개학이 연기되었고 봄을 만끽하기 위해 밖으로 나가는 사람은 드물다. 코로나19 때문이다. 봄은 어느 순간 우리 곁을 찾아왔어도 전염병으로 인해 사람들은 봄이라는 계절을 인식하지 못하고 여전히 코로나와 싸우고 있다.

중국 우한에서 지난해 12월 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가 발생하고 3월17일 한국 국내에서 감염자가 확인된 지 3개월이 지나가는 시점에 한국도 확진자가 지방으로 퍼져나가 현재 확진환자 8,230명, 사망자가 81명에 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월 24일을 기해 감염병 위기 경보시스템이 최고단계인 심각상태로 중앙정부는 물론이고 지자체와도 공조체계를 갖추고 최선을 다해 대응조치를 하고 있으나 계속 확진환자가 발생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가 확진되어 중국이 8만1천3명으로 가장 많았고▲이탈리아1만1천157명▲이란1만3천938명▲스페인7천798명▲독일5천426명▲프랑스4천511명▲미국3천244명▲스위스2천200명 등으로 파악되며 중국은 최근 일주일 새 신규확진자수가 적게는 한 자릿수로 떨어질 정도로 안정 국면에 접어들었지만 이란, 이탈리아 등 중동아시아와 유럽으로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어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는 추세이다. 각국 정부에 전염병의 확산과 쇠퇴광정에 대해 조언하는 전문가들도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하며 정점을 찍은 뒤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5월말에서 6월초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코로나19를 막기 위해 예방이 중요하며 스스로 코로나 예방수칙을 지키며 개인위생에 신경써야하는 것은 물론 우리 모두가 최후의 저지선이 되어야 할 것을 당부한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후폭풍으로 음주사건, 마스크 매점매석, 악의적인 허위사실 유포·제작 등 각종 범죄사건이 크게 늘었다.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시작한 2월부터 경찰의 음주단속이 뜸해진 사이 일부 운전자들이 소홀해진 틈을 타 음주운전사고가 34%이상 증가하였고 또한 마스크 관련 범죄 약 200건, 가짜뉴스와 유언비어 약 280건 가량 크게 늘었다.

현재 고정식 음주단속 대신 의심되는 차량만 단속하는 선별식 단속을 하고 있으나 ‘윤창호법’ 이후 음주운전 사고 처벌이 대폭 강화된 만큼 경찰의 단속여부와 관계없이 개인 스스로가 음주운전을 해선 안된다. 그리고 사회 혼란을 야기하고 국민들의 사기를 저해하는 가짜뉴스, 유언비어에 대해 ‘허위사실 유포(업무방해 등)’로 엄격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계속해서 경찰에서도 적극적인 범죄신고 대응과 처벌 강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고 국민 개인위생을 지키고 외출을 자제하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면 더 이상 코로나19가 확산되지 않고 빠르게 해결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네티즌 의견 0

0/300자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거창군, 일본뇌염 예방 위한 방역·홍보활동 강화
[경남도민뉴스=백형찬 기자] 거창군은 지난 24일 경남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처음 발견됨에 따라 야외활동 시 모기 매개 감염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번 일본뇌염 주의보는 제주 지역과 전남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처음 확인됨에 따라 발령된 것으로, 전년도보다 3일 빠른 시점이다. 최근 기온 상승으로 인해 모기 개체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릴 경우 심각한 신경계 증상을 동반하는 일본뇌염이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군은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모기(유충)서식지 신고센터를 운영하는 등 방역 활동을 강화하고, 군민을 대상으로 모기 매개 감염병에 대한 위험성과 예방수칙을 알리는 홍보 활동도 확대하고 있다. 일본뇌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기에 예방접종 실시 △모기 활동이 활발한 4월~10월 야간 시간대 활동 자제 △외출 시 밝은색의 긴 옷 착용 △모기 기피제와 모기장 사용 △방충망 점검 등의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구인모 거창군수는 “ 일본뇌염은 특화된 치료법이 없어 예방접종과 모기물림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며, “특히 어린이는 예방접종을

오피니언

더보기

라이프·게시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