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기상청 제공

창녕군, 창녕마늘 우량종구 증식보급센터 개소

고품질 창녕마늘 종자 생산 보급체계 갖춰

 

[경남도민뉴스=김병현 기자] 창녕군은 지난 24일, 지역 주소득 작물인 마늘의 고품질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창녕마늘 우량종구 증식보급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개소식에는 성낙인 군수를 비롯해 창녕군의회 의장, 도·군의원, 농업 유관기관 단체장, 지역 농업인 등 50여 명이 참석해 사업 경과보고, 기념사, 축사, 테이프 커팅, 시설 관람 순으로 진행됐다.

 

창녕마늘 우량종구 증식보급센터는 총사업비 30억 원이 투입돼 대지면 효정리에 부지면적 9,630㎡ 규모로 건립됐다.

 

주요 시설로는 마늘 생장점 배양 조직배양실(490㎡), 순화온실(4동, 6,032㎡)이 있으며, 실체현미경 등 12종 60여 대의 실험 장비를 갖추고 있다.

 

창녕군은 전국 최대 마늘 주산지로, 재배면적은 3,485㏊로 전국 재배면적의 14.7%를 차지하며, 연간 65,971톤(전국 생산량의 약 22.5%)의 마늘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마늘은 영양체 번식 작물로 매년 종구를 재사용하면 품질 퇴화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녕군은 우량 종구 증식보급센터를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생장점을 조직배양 기술로 증식하여 품질이 우수한 마늘 종구를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

 

조직배양 기술로 생산된 생장점 배양 우량 종구는 일반 종구에 비해 바이러스 밀도가 20% 감소하며, 생산성은 30에서 60%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창녕군 내 마늘 생산 농가에 우량 종구가 보급되면 연간 약 700억 원의 소득 증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낙인 군수는 “창녕마늘 우량종구 증식보급센터가 창녕마늘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다”라며, “우량 종구의 신속한 보급으로 마늘 재배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고품격 창녕 마늘이 세계 시장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네티즌 의견 0

0/300자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거창군, 일본뇌염 예방 위한 방역·홍보활동 강화
[경남도민뉴스=백형찬 기자] 거창군은 지난 24일 경남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처음 발견됨에 따라 야외활동 시 모기 매개 감염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번 일본뇌염 주의보는 제주 지역과 전남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처음 확인됨에 따라 발령된 것으로, 전년도보다 3일 빠른 시점이다. 최근 기온 상승으로 인해 모기 개체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릴 경우 심각한 신경계 증상을 동반하는 일본뇌염이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군은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해 모기(유충)서식지 신고센터를 운영하는 등 방역 활동을 강화하고, 군민을 대상으로 모기 매개 감염병에 대한 위험성과 예방수칙을 알리는 홍보 활동도 확대하고 있다. 일본뇌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기에 예방접종 실시 △모기 활동이 활발한 4월~10월 야간 시간대 활동 자제 △외출 시 밝은색의 긴 옷 착용 △모기 기피제와 모기장 사용 △방충망 점검 등의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구인모 거창군수는 “ 일본뇌염은 특화된 치료법이 없어 예방접종과 모기물림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며, “특히 어린이는 예방접종을

오피니언

더보기

라이프·게시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