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5.6℃
기상청 제공

'언더커버 하이스쿨' 서강준의 임무 수행은 계속된다! 더욱 악랄해진 김신록의 마지막 한 방은?

 

[경남도민뉴스=백형찬 기자] ‘언더커버 하이스쿨’이 최종회를 앞두고 있다.

 

마지막 방송까지 단 2회만을 남겨둔 MBC 금토드라마 ‘언더커버 하이스쿨’(기획 남궁성우/극본 임영빈/연출 최정인/제작 네오엔터테인먼트, 슬링샷스튜디오/ 이하 ‘언더스쿨’)의 결말에 대한 추측이 이어지고 있다.

 

금괴의 행방을 찾으라는 미션을 받은 정해성(서강준 분)은 집요하게 파고들고, 서명주(김신록 분)는 금괴를 얻기 위해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 예측할 수 없는 파격적인 전개가 연이어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마지막 방송을 앞두고 보는 재미를 더할 관전 포인트를 짚어봤다.

 

#. 정해성의 임무! 숨은 금괴의 행방을 찾아라!

 

병문고 내에 숨겨져 있다는 금괴를 찾으라는 명을 받고 학생으로 위장한 해성은 금괴의 행방과 관련된 학교에 퍼져있는 괴담의 진실을 파헤쳤다. 괴담은 주로 사용하지 않는 구관 건물에서 발생했고, 이를 추적하던 중 흉상을 움직여 지하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러나 그곳에는 금괴의 흔적조차 없었고 이는 시청자들의 의문을 샀다. 도무지 알 수 없는 금괴 행방에 귀추가 주목되는 가운데, 금괴가 실존하는지 해성은 무사히 이 작전을 마무리 지을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 최강 빌런 서명주의 최후! 그의 악행은 어디까지

 

명주는 내신 비리 사건과 관련 이사장직에서 물러나는 듯했으나 9회 방송 말미 예고없이 불현듯 나타나 모두를 놀라게 했다. 이후 해성의 퇴학과 더불어 국정원 국내 4팀은 해체를 하게 됐고, 오수아(진기주 분)까지 학교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했다.

 

더 악랄해져서 돌아온 명주는 절대권력자의 모습을 가감 없이 드러내며 금괴를 손에 넣기 위해 더욱더 고군분투한다고. 마지막까지 결말을 예측할 수 없게 만드는 명주의 운명이 어떠한 최후를 맞이하게 될지 기대감을 고조시킨다.

 

#. 정해성X오수아, 핑크빛 기류 터질까

 

해성과 수아는 서로 소꿉친구였다는 걸 알게 되면서 더욱 가까워졌다. 특히 10회 방송에서 해성이 수아에게 “좋아한다. 내가 많이”라며 깜짝 고백을 했고, 수아 또한 해성에게 “해성아. 이번 작전 끝나면 같이 밥 먹자”라고 말해 설렘 지수를 드높였다. 서로에게 조금씩 다가가는 두 사람이 과연 핑크빛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지켜보게 만든다.

 

한편 K콘텐츠 경쟁력 전문 기관인 굿데이터코퍼레이션 공식 플랫폼인 펀덱스(FUNdex)에 따르면 ‘언더커버 하이스쿨’은 3월 3주차 드라마와 비드라마를 합친 TV 화제성에서 5주 연속 1위에 올랐고, 서강준 또한 TV-드라마 출연자 화제성에서 5주 연속 1위에 올라 뜨거운 화제성을 입증했다.

 

MBC 금토드라마 ‘언더커버 하이스쿨’은 매주 금, 토요일 밤 9시 50분 방송된다.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거창군, 제45회 장애인의 날 기념행사 개최
[경남도민뉴스=백형찬 기자] 거창군은 18일 거창군 실내체육관 및 스포츠파크 일원에서 장애인, 유관기관·단체장, 자원봉사자 등 1,8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45회 장애인의 날 기념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구인모 거창군수, 이재운 거창군의회 의장, 박주언·김일수 도의원을 비롯한 내빈들이 참석했다. 행사는 발달장애 아동들의 난타 공연과 삶의 쉼터 실버 통기타 팀의 공연으로 시작됐다. 중식 이후에는 ‘제29회 거창군 장애인복지증진대회’가 열려 장기 자랑과 경품추첨 등이 펼쳐졌다. 참석자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화합과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행사장에는 거창군 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 거창군 삶의 쉼터, 거창군 사회복지협의회 ‘좋은 이웃들’, 거창 젠더폭력통합상담센터 등이 홍보부스를 운영해 장애인을 위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거창군 여성단체협의회는 ‘차 나눔 봉사활동’을 통해 따뜻한 정을 전했다. 행사를 주관한 5개 장애인 단체를 대표해 유병호 (사)지체장애인협회 지회장은 “장애인의 삶과 권리보장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높이고 장애인이 서로 간의 정을 두텁게 하는 화합의 장이 됐다”라며 “장애인 단체들은 각자의 소명을 다할 것”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