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14.6℃
기상청 제공

전동킥보드 안전수칙 준수로 교통사고 예방

 

 (하동경찰서 경무과 경무계장 김 철 우)


[경남도민뉴스] 최근 몇 년 사이 2030세대를 넘어 10대까지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이용자가 확산되면서 고라니처럼 갑자기 튀어나와 차도와 인도를 불문한 무분별한 운행으로 운전자와 보행자를 위협하는 일명 ‘킥라니’(킥보드와 고라니의 합성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개인형 이동수단이란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1인용 교통수단으로 원동기장치 자전거 중 최고 속도가 시속 25km 미만, 차체중량 30kg 미만인 것으로 전동 킥보드 등을 말한다.

전동 킥보드는 새롭게 등장한 교통수단인 만큼 효율성과 편리성·이용의 용이성으로 개인용 이동수단으로 급부상하면서 ‘도로 위의 무법자’라는 오명에도 이를 구매하는 사람이 많아졌고, 앱으로 대여도 가능해 이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안전수칙을 준수하지 않아 운전자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와 교통사고 발생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한국안전공단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는 19년 96,000대이던 것이 20년에는 145,000대로 급증하였고, 최근 3년간 전동킥보드 사고현황을 보면 17년 363건, 18년 613건, 19년 785건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 사고건수는 이미 2019년 전체 건수와 비슷한 수준에 이르렀고 사망자도 두배 이상 늘어나고 있어 교통사고 위험에 크게 노출되고 있다

 

전동 킥보드는 일반 자전거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운행할 수 있는 특성상 한 번 사고가 나면 자신은 물론 상대방에게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줄 수 밖에 없는 이동 수단으로, 최근 개정된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 운행 연령이 기존 16세 이상에 면허 소지에서 이제부터는 13세 이상이면 면허 없이도 운전 가능하고, 헬멧 등 안전장비 착용 역시 의무가 아니다. 또한, 차도뿐만 아니라 자전거 도로에서도 이용 가능하게 되었지만, 횡단보도 통행 시 운행과 인도주행, 음주운전, 신호위반, 중앙선침범, 횡단방해 등은 금지되어 위반시 범칙금이 부과되고, 사고시는 피해자와 합의되지 않으며 종합보험이 없어 형사처벌을 받게 된다.

 

전동킥보드 운행 시 보행자의 안전과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그 위험성을 인식하고 교통법규를 지키며 항상 주의하고 안전수칙을 준수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운전자 스스로의 안전을 지키는 습관, 더 나아가서는 다른 사람들의 안전을 지켜주는 문화가 형성될 때 비로소 그 편리함을 온전히 누릴수 있을 것이다.

네티즌 의견 0

0/300자

포토뉴스



의료·보건·복지

더보기
거창군, 2025년 상반기 응급의료협의체 회의 개최
[경남도민뉴스=백형찬 기자] 거창군은 지난 23일 2025년 상반기 응급의료협의체 회의를 개최하고, 지역 내 응급의료체계의 개선점과 유관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는 거창군보건소, 거창소방서, 거창적십자병원, 거창한국병원, 중앙메디컬병원, 구오구오응급구조단, 협약병원인 대구 W병원 등 관계자 14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관내 병원의 응급실과 야간진료실 진료현황 공유 및 지역응급의료기관 평가 향상 방법, 참석기관의 운영 상황과 협조사항 공유, 응급의료 유관기관 간 협력 방안, 중증응급환자 발생 시 신속한 이송체계와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중앙메디컬병원은 응급실 소아경증환자 분산을 위해 평일 야간과 휴일 시간대 외래 진료로 신속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달빛어린이병원 지정 준비 중임을 안내했고, 보건소에서는 거창군 생활인구 활성화를 위해 협력병원 임직원과 가족들이 거창군 행사·축제 등에 방문할 수 있도록 홍보했다. 또한 응급의료협의체에는 응급실 이용 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중증환자는 응급실로, 경증환자는 가까운 병의원으로’ 캠페인을 전개했다. 거창적십자병원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통해 지역응급의료기관과 병원 간의 유기적

오피니언

더보기

라이프·게시판

더보기